방탄소년단 RM이 사랑한 두 거장, 윤형근과 김창열 전시회
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이 깊은 존경을 표하는 두 거장의 전시가 서울에서 나란히 열리고 있습니다.
RM이 곡을 헌정할 정도로 존경하는 '단색화의 거장' 윤형근의 전시는 서울 종로구 PKM 갤러리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 종로구 갤러리현대에서는 '물방울의 화가' 김창열의 전시가 열리고 있으며, 이곳에는 RM의 소장품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두 전시 공간의 거리는 불과 845m로, 서로 다른 매력을 지닌 두 거장의 작품을 한 번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50년간 그린 물방울, 김창열
김창열(1929~2021)은 50년 동안 오로지 물방울만을 그린 화가입니다.
그의 물방울 작품은 캔버스에 스며든 물방울, 그 위에 영롱하게 맺힌 물방울, 캔버스를 적시며 타고 흘러내리는 물방울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됩니다.
1971년 어느 아침, 파리 근교의 마구간에서 재활용하기 위해 물을 뿌려둔 캔버스에 맺힌 물방울을 발견한 것이 그의 일생의 화업이 되었습니다.
김창열의 개인전 '영롱함을 넘어서'는 그의 3주기를 맞아 갤러리현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 전시에서는 김창열이 자신의 조형 언어로 삼아 탐구해온 물방울의 다양한 변모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물방울의 다양한 표현과 그것이 놓인 표면과의 관계에 집중하며 김창열이 탐구한 '조형 언어로서의 물방울'에 초점을 맞춘 큐레이팅을 선보입니다.
전시에는 여러 개인 소장가들의 작품을 한 곳에 모아 1970년대 초반 작품부터 2018년 완성한 근작까지 총 38점이 전시됩니다.
초현실주의적 맥락의 1970년대 작품들
1층에서는 1970년대 주요 작품들이 전시됩니다.
물방울이 캔버스에 맺힌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초기작들에서 중력을 거스른 채 영롱하게 빛나는 물방울을 볼 수 있습니다.
극사실주의 그림처럼 보이지만, 물방울이 실제 캔버스에 그림처럼 맺혀있기는 힘듭니다.
이 때문에 1970년대 김창열의 작품들은 초현실주의적 맥락에서 해석되기도 합니다.
다양한 변주의 1980년대 이후 작품들
2층에서는 스며들고, 흔들리고, 끈적이며 다양하게 변주된 물방울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물방울이 스며들어 얼룩진 캔버스, 그 위에 또 맺힌 물방울, 캔버스에 큰 물자국을 남기며 흘러내린 물방울, 캔버스 위에 모래를 바르고 그린 물방울 등 다양한 물방울들을 볼 수 있습니다.
한 작품에서도 물방울의 크기, 점도, 흐르는 속도가 다르게 표현되고, 물방울을 투과한 빛의 색깔도 다르게 표현됩니다.
1990년대 한지를 여러 겹 발라 그 위에 물방울을 그린 대형 작업들에서는 잘 알려진 물방울 그림과 전혀 다른 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민주주의에 관한 글이 프랑스어로 인쇄된 종이의 위아래를 뒤집은 뒤 그 위에 물방울을 그린 작품이 눈길을 끕니다.
독재정권 아래 민주주의가 훼손된 상황에 대한 표현으로도 읽힙니다.
세로로 긴 직사각형 캔버스에 물방울을 S자로 흘려놓은 듯한 그림이 RM 소장품입니다.
한자로 쓰인 천자문과 물방울의 관계
지하 1층에서는 1980년대 이후 제작된 '회귀' 작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한자로 쓰인 천자문 위에 물방울을 그린 작품들로, 글자와 물방울이 맺고 있는 관계 또한 다양하게 변주됩니다.
물방울에 의해 글자가 확대된 작품, 글자가 지워진 작품, 글자 부분만 비워놓고 색을 칠하는 등 다양한 기법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전시는 6월 9일까지 열립니다.
단색화의 거장, 윤형근
윤형근(1928~2007)은 단색화의 거장으로, 그의 작품은 하늘을 상징하는 청색(Ultramarine)과 땅을 상징하는 다색(Umber)의 단순하고도 묵직한 색채가 특징입니다.
RM은 2022년 발표한 정규앨범 1집 에서 윤형근의 육성을 담은 곡 ‘Yun’을 첫 번째 트랙으로 선보였습니다.
PKM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윤형근/파리/윤형근’ 전시에서는 작가가 두 차례 파리에서 머물며 작업한 작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1980년 군사독재 정권의 탄압에 분노하고 좌절해 파리로 떠나 그곳에서 몰두했던 한지 작업과 2002년 파리 장브롤리 개인전에 출품한 작품 등 국내 미공개 작품 27점을 선보입니다.
1980년 12월 파리로 향해 1년 반 동안 체류했던 윤형근은 한국 전통의 한지를 재료로 택했습니다.
한지 위에 스며든 청색과 다색의 물감은 번지고 겹쳐지며 색채의 스펙트럼을 극대화해 보여줍니다.
가운데는 심연의 검은색으로, 가장자리는 옅은 청색과 다색이 스펙트럼을 이루며 번져나갑니다.
윤형근이 2002년 파리에서 3개월간 머물며 선보인 작품들은 대형 캔버스 위에 힘 있게 그은 뚜렷한 청다색이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세심하고 은은한 색채의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한지 작업과 대형 캔버스에 작업한 힘 있는 작품이 함께 전시되어 대비와 조화를 이루며 감상의 재미를 더합니다.
오는 7월에는 윤형근의 고향인 충북 청주시립미술관에서 윤형근 개인전이 열릴 예정입니다.
전시는 6월 29일까지 열립니다.
이번 전시는 두 거장의 작품을 한 번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두 전시를 모두 방문하여 RM이 사랑한 예술 세계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태양 폭풍의 비밀: 태양 자기장의 생성 위치와 예측 기술의 발전
태양 폭풍의 비밀: 태양 자기장의 생성 위치와 예측 기술의 발전최근 전 세계에서 관측된 오로라 현상은 태양 폭풍으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태양 폭풍은 아름다운 오로라를 선사하지만, 지구
kiwiinfo.tistory.com